객체의 프로퍼티 값을 if문을 사용하여 비교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객체는 프로퍼티와 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프로퍼티의 값에 if문을 사용하여 비교하거나 검증할 때 주의할 점이 있는데 그것은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미리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점입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빈 객체가 아닌 선언되지 않은 객체가 비교대상일수도 있고 이런 경우 undefined 에러가 나타납니다. 이런 에러를 발생하지 않는 방법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 객체 프로퍼티에 if문을 사용하여 비교하는 예제보기먼저 아래와같은 예제가 있습니다. site라는 객체가 없는 경우 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없는 객체 name의 프로퍼티에 if문을 적용하므로 에러가 나타납니다.
이런 에러를 피하기 위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이 먼저 객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 프로퍼티를 비교하게됩니다.
위 코드는 객체가 없지만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위 코드는 다소 코드가 길어지므로 아래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더 좋을 것입니다.
위 코드는 if문의 약식표기인 한줄 문법을 적용하여 더욱 간단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짧은 코드로 가독성이 뛰어납니다.
먼저 객체는 프로퍼티와 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프로퍼티의 값에 if문을 사용하여 비교하거나 검증할 때 주의할 점이 있는데 그것은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미리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점입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빈 객체가 아닌 선언되지 않은 객체가 비교대상일수도 있고 이런 경우 undefined 에러가 나타납니다. 이런 에러를 발생하지 않는 방법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 객체 프로퍼티에 if문을 사용하여 비교하는 예제보기먼저 아래와같은 예제가 있습니다. site라는 객체가 없는 경우 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없는 객체 name의 프로퍼티에 if문을 적용하므로 에러가 나타납니다.
if (site.name === 'webisfree') {
console.log('Good!');
}
console.log('Good!');
}
이런 에러를 피하기 위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이 먼저 객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 프로퍼티를 비교하게됩니다.
if (site) {
if (site.name === 'webisfree') {
console.log('Good!');
}
}
if (site.name === 'webisfree') {
console.log('Good!');
}
}
위 코드는 객체가 없지만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위 코드는 다소 코드가 길어지므로 아래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더 좋을 것입니다.
if (site) if (site.name === 'webisfree') {
console.log('Good!');
}
console.log('Good!');
}
위 코드는 if문의 약식표기인 한줄 문법을 적용하여 더욱 간단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짧은 코드로 가독성이 뛰어납니다.
Author ByTypeAll
네. 도움이 되었어요
아니요. 별로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