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ebook(페이스북)의 콘텐츠를 자신의 웹사이트로 graph api를 사용하여 가져오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참고로 여기서는 가져오기까지의 과정만 설명합니다. 즉 페이스북에 있는 글을 가져온 후 어떻게 처리하지까지는 다루지 않으니 알아두세요. Graph API를 사용하기 까지의 방법과 과정만 설명하려고 합니다.
! 언제 Facebook(페이스북) 콘텐츠 api를 사용할까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플랫폼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면 편리하겠죠. 페이스북에 올렸던 글을 다른 SNS나 웹사이트 등등 여러 채널에 가져올 수 있다면 매우 편리할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페이스북은 자신의 글이나 이미지등에 접근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에 하나의 방법이 바로 Graph API입니다.
결국 Facebook에 콘텐츠를 등록하였다면 이를 Graph API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글을 가져와 다른 곳(여기서는 웹사이트)에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 매우 편리한 기능입니다.
! Facebook Graph api 간략하게 알아보기
앞에 말한 것처럼 페이스북이 제공하는 다양한 API 중에서 페이스북 콘텐츠에 접근하고 글 등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graph api를 사용해야 합니다. graph api를 사용하면 페이스북 페이지에 필요한 제목이나 내용, 썸네일 등등을 불러오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럼 어떻게 graph api를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 Graph api를 사용하는 방법
먼저 graph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 몇 가지 필요한 것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해당 페이스북 채널을 관리할 수 있는 권한과 페이스북 개발자 계정입니다.
페이스북 개발자 계정은 채널을 관리하는 계정과 다를 수 있습니다. 만약 개발자 계정이 없다면 새로 생성하여야 합니다. 페이스북 개발자 계정은 아래의 페이스북 개발자 페이지에서 생성할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개발자 페이지 바로가기 >
developers.facebook.com
스크린샷) 페이스북 개발자 페이지 상단의 도구 메뉴
계정이 있다면 이제 개발자 페이지로 이동해봅니다. 개발자 페이지의 상단에 보면 문서 옆에 도구 메뉴가 존재합니다. 이 도구 메뉴에 마우스를 올리면 그래프 API 탐색기가 보이죠. 이게 바로 우리가 사용할 Graph API입니다. 클릭하도록 합니다.
! Graph API에 앱을 등록하고 토큰 발행하기
이제 실제로 필요한 것들을 이 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앱을 등록하거나 접근 권한을 위해 토큰을 발행하는 등등 개발에 필요한 여러가지의 것들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엑세스 토큰 생성이 필요합니다. 이 엑세스 토큰은 api를 호출할 때 인증 목적으로 사용하며 메뉴 가장 위에 존재합니다. 버튼 Generate Access Token을 누르면 생성되는데 이 코드를 복사하여 실제 API를 동작할 때 추가하면 됩니다.
다음으로 어떤 Facebook앱에 사용할 것인지 그리고 어떤 정보를 접근할 것인지 권한을 설정해야 합니다. 아래의 스크린 샷을 보시면 엑세스 토큰 아래에 위치한 메뉴가 바로 그것입니다.
그래프API에서 토큰 및 앱과 권한 설정 화면
여기서 앱은 내가 가지고 있는 페이스북 앱으로 개발자 페이지에 등록을 했어야 나타납니다. 만약 없다면 새로 등록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권한은 실제 API를 사용할 때 필요한 정보에 대하여 필요한 권한을 설정하는 메뉴입니다. 권한 설정은 보안을 위해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권한만 설정하도록 합니다.
여기까지 Graph API를 사용하기 위한 계정, 토큰, 권한 등의 방법들을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 참고. 그래프 API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가져올 때... ]
만약 Graph API를 사용하여 페이스북에 있는 이미지 url을 가져온 경우 이를 사용할 수 있겠죠. 하지만 중요한 부분은 해당 url은 계속해서 바뀌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이런 이유로 이미지를 가져와 따로 서버에 저장해서 사용하는 등의 추가적인 방법이 필요합니다. 잘 나오던 이미지가 갑자기 안나온다면 이런 이유 때문이니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 언제 Facebook(페이스북) 콘텐츠 api를 사용할까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플랫폼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면 편리하겠죠. 페이스북에 올렸던 글을 다른 SNS나 웹사이트 등등 여러 채널에 가져올 수 있다면 매우 편리할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페이스북은 자신의 글이나 이미지등에 접근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에 하나의 방법이 바로 Graph API입니다.
결국 Facebook에 콘텐츠를 등록하였다면 이를 Graph API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글을 가져와 다른 곳(여기서는 웹사이트)에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 매우 편리한 기능입니다.
! Facebook Graph api 간략하게 알아보기
앞에 말한 것처럼 페이스북이 제공하는 다양한 API 중에서 페이스북 콘텐츠에 접근하고 글 등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graph api를 사용해야 합니다. graph api를 사용하면 페이스북 페이지에 필요한 제목이나 내용, 썸네일 등등을 불러오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럼 어떻게 graph api를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 Graph api를 사용하는 방법
먼저 graph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 몇 가지 필요한 것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해당 페이스북 채널을 관리할 수 있는 권한과 페이스북 개발자 계정입니다.
페이스북 개발자 계정은 채널을 관리하는 계정과 다를 수 있습니다. 만약 개발자 계정이 없다면 새로 생성하여야 합니다. 페이스북 개발자 계정은 아래의 페이스북 개발자 페이지에서 생성할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개발자 페이지 바로가기 >
developers.facebook.com
계정이 있다면 이제 개발자 페이지로 이동해봅니다. 개발자 페이지의 상단에 보면 문서 옆에 도구 메뉴가 존재합니다. 이 도구 메뉴에 마우스를 올리면 그래프 API 탐색기가 보이죠. 이게 바로 우리가 사용할 Graph API입니다. 클릭하도록 합니다.
! Graph API에 앱을 등록하고 토큰 발행하기
이제 실제로 필요한 것들을 이 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앱을 등록하거나 접근 권한을 위해 토큰을 발행하는 등등 개발에 필요한 여러가지의 것들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엑세스 토큰 생성이 필요합니다. 이 엑세스 토큰은 api를 호출할 때 인증 목적으로 사용하며 메뉴 가장 위에 존재합니다. 버튼 Generate Access Token을 누르면 생성되는데 이 코드를 복사하여 실제 API를 동작할 때 추가하면 됩니다.
다음으로 어떤 Facebook앱에 사용할 것인지 그리고 어떤 정보를 접근할 것인지 권한을 설정해야 합니다. 아래의 스크린 샷을 보시면 엑세스 토큰 아래에 위치한 메뉴가 바로 그것입니다.

여기서 앱은 내가 가지고 있는 페이스북 앱으로 개발자 페이지에 등록을 했어야 나타납니다. 만약 없다면 새로 등록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권한은 실제 API를 사용할 때 필요한 정보에 대하여 필요한 권한을 설정하는 메뉴입니다. 권한 설정은 보안을 위해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권한만 설정하도록 합니다.
여기까지 Graph API를 사용하기 위한 계정, 토큰, 권한 등의 방법들을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 참고. 그래프 API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가져올 때... ]
만약 Graph API를 사용하여 페이스북에 있는 이미지 url을 가져온 경우 이를 사용할 수 있겠죠. 하지만 중요한 부분은 해당 url은 계속해서 바뀌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이런 이유로 이미지를 가져와 따로 서버에 저장해서 사용하는 등의 추가적인 방법이 필요합니다. 잘 나오던 이미지가 갑자기 안나온다면 이런 이유 때문이니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Author ByEn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