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이야기가 어디까지였더라... 아마 플로피디스켓(Floppy disk)가 마지막이었던 것 같다. 어쨌든 그때는 저장공간의 한계때문에 제약사항이 너무나 많던 시기였다. 지금처럼 네트워크가 잘되있다면 이런 문제가 크지 않았겠지만 네트워크의 모습도 지금과는 너무 다르던 시기였다... 이런 부족한 공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뭔가 특단의 대책이 필요해 보였다. 단순히 디스켓의 용량 늘리기로는 한계가 있었으므로 디스켓이 아닌 다른 물리적 뭔가가 나오길 기대하고 기대했다.아마 압축 프로그램이 넓리 사용된 시기도 이쯤이었다. 플로피디스켓에 하나의 프로그램을 다 담을 수 없었기 때문에 분할 압축은 필수적이었다. 분할 압축은 가지고 있는 디스켓 타입에 따라 1.2메가 또는 1.44 메가로 여러장 나누어 담는데 매우 편
Last Modified : 2016-05-16 13:10:37리눅스의 저장장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df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리눅스 df 명령어 알아보기df는 disk filesystem의 줄임발로 디스크 파일 시스템에 대하여 정보를 알려줍니다. 특히 사용 중인 공간과 남은 공간을 확인할 때 매우 용이합니다. 아래는 사용 간으한 옵션 정보입니다.h // 읽기 쉬운 단위로 변경하여 출력함m // 메가 바이트(M byte) 단위로 보기k // 킬로 바이트(K byte) 단위로 보기T // 파일 시스템의 타입 확인하기아래는 df -h 명령어를 사용한 경우의 출력 결과입니다.df -h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rootfs 953G 146G 808G 16% /C:
Last Modified : 2020-12-08 13:4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