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스크립트에 대하여 짧고 간략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훅~ 지나갈 수 있다는 점 참고하세요!"그런데 타입스크립트 왜 알아야 할까? 반드시 알아야 할까?"자바스크립트만 사용해도 될텐데 왜 어려운 타입스크립트까지 알아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죠... 물론 타입스크립트만의 장점이 있기 때문이겠지만 이와 별개로 요새는 대부분의 오픈소스나 참고 자료가 타입스크립트를 지원하거나 타입스크립트로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점점 더 거대해지고 있습니다. 결국 원하지 않더라도 시간이 갈 수록 점점 더 타입스크립트를 이해하거나 알아야 할 상황에 늘어가고 있기에 더욱 알 필...
타입스크립트(typescript)를 사용하는 웹어플리케이션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 만큼 장점이 많기 때문이죠. 그런데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면 개발 로컬 환경에서 추가적인 컴파일(트랜스파일)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아래는 이에 대한 해결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면 왜 늦을까타입스크립트 역시 컴파일 과정을 통해 설정된 es5, esnext 등의 버전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react 등의 프론트엔드 환경에서는 웹팩(Webpack) 등의 번들링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고 이때 타입스크립트의 컴파일 역시 함께 수행되므로 로딩 시간은 더 ...
요즘은 거의 모든 프레임워크가 타입스크립트를 지원합니다. AngularJS의 경우 타입스크립트의 사용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버렸고 ReactJS와 VueJS 역시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죠.이런 환경에서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할 때 세미콜론을 반드시 써야하는지 아니면 쓰지 않아야 하는지 혼동스러운 경우가 발생하는데요 이에 대하여 간단히 상황을 정리해봅니다. 이 글은 해야한다 아니다가 아닌 여러 의견과 정보를 취합하고 생각해보는 글입니다.# 꼭 세미콜론을 안 써야하는가?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다수의 개발자들이 세미콜론 사용 유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