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이름을 알아내다? 항상 동일한 함수를 실행하는 경우라면 당연히 알 수 있겠지만 만약 함수를 인자로 받아 실행하는 함수가 달라지는 경우라면 함수의 이름이 달라지게 될 것입니다. 이런 경우 함수 이름을 얻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 이름 알아내기, Function name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황에 따라 함수명(함수이름)을 알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일반적으로 함수 이름을 알아야하는 경우는 흔하지는 않습니다. 한 가지 예를 들자면 특정 기능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에러 메시지와 함께 에러가 발생한 함수명을 보여주고 싶은 경...
자바스크립트의 객체(Object)에 사용하는 entries() 메소드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자바스크립트 Object의 entries() 메소드는?자바스크립트의 타입중 객체는 배열처럼 하나가 아닌 여러 개의 값을 키, 밸류 형태로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객체가 가진 모든 키와 값을 확인하길 원하는 경우라면 entries()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entries()는 객체가 가지고 있는 모든 프로퍼티를 키와 값 쌍으로 배열 형태로 반환하여 주기 때문에 어떤 프로퍼티와 값으로 이루어졌는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겠죠.Object.entries() // 모든 프로퍼...
VueJS에서 setTimeout() 타이머 함수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어떻게하면 될까요?# VueJS setTimeout() 함수 만드는 방법물론 VueJS에서도 setTimeou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이므로 당연히 동작합니다. 하지만 VueJS의 모델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내장함수가 있다면 이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하죠.하지만!!!타이머 함수를 위한 내장함수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며 setTimeout()을 사용하여 해당 vue의 scope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이 경우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아래에서...
자바스크립트를 보면 느낌표로 시작하는 함수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외부 sdk 등의 코드들도 느낌표로 시작되고는 하죠. 어떤 기능이 있을까요?# 자바스크립트 즉시실행함수즉시실행함수는 코드의 실행이 콜백의 도움없이 스스로 실행될 수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페이지가 열리는 동시에 반드시 시작될 코드함수가 이런 방식으로 실행됩니다.함수를 즉시 실행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적용된 코드가 바로 즉시실행함수입니다.(function() { // Code here})();위 코드는 가장 잘 알려진 즉시실행 함수의 문법입니다. 하지만 아...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옵션에 있는 값을 선택할때마다 해당하는 값을 더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알아봅니다. 먼저 html을 사용하여 입력폼을 만들어봅니다. 사용자가 select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더해진 값은 하단의 input 태그에 합산되어 나타납니다.! html 코드 보기<body> <h4># Select your favorite item(s)</h4> <select onchange="sumPrice(event)"> <option value="10">10<...
자바스크립트 ECMAScript 6에서 블록 스코프의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자바스크립트의 변수가 ES6에서 let 또는 const 선언이 블록 스코프(Block scope)로 동작하는 것처럼 ES6에서는 함수 역시 {} 블록에서 블록 스코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블록 스코프란?간단하게 블록 스코프는 선언된 블록 영역에서만 제한되어 접근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다른 스코프 영역인 블록을 벗어난 경우 해당 변수나 함수를 참조할 수 없게되는 것이죠. ES6 이전에는 블록스코프가 존재하지 않아 어려움이 많았으나 ES6부터는 가능해졌습니다.그럼 함수...
자바스크립트 익명함수(Javascript anonymous function)# 익명함수란?익명함수는 이름이 없는 함수를 말합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이름이 없는 함수를 실행, 동작하는 것이 간단합니다. 아래에서 익명함수를 찾아보세요.var myFunc = function() {};setTimeout(function() {}, 5000);(function() {})();위 세가지 모두 익명함수가 사용되었습니다. 위에는 변수 선언에 사용되었고 아래는 타이머 함수를 만드는데~ 그리고 마지막은 즉시호출함수에 익명함수가 사용되었습니다.익명함수는 이름없이 사용...
ES6(ECMA Script 6)의 큰 특징 중 하나인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s)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봅니다.[참고] 화살표 함수?화살표 함수는 => 처럼 화살표 기호를 사용하여 함수를 만들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의 CoffeeScript의 문법에서 사용되던 함수 작성 문법입니다. # ES 6 화살표 함수의 특징ES 6 부터는 함수를 구현할 때 일반적인 함수 구현 방식과 달리 화살표 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화살표 함수는 함수를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함수 구문으로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대부분이 동일합니다. 그 외 문법적 차이를 ...
만약 angularjs 디렉티브가 존재하고 링크함수가 있다고 가정했을때 내부에 위치한 $watch를 통하여 값을 변경하는 경우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 경우 $watch 내부의 모델값이 정상적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는데 이 경우 setTimeout 또는 $timeout을 사용하여 해결될 수 있습니다.myApp.directive('webIsFree', function() { return { link: function() { setTimeout(functio...
파이썬 함수 사용 방법 및 예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먼저 알아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파이썬 함수의 선언파이썬 함수의 호출# 파이썬 함수의 선언파이썬 언어에서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def 함수이름(인자): 수행코드다른 언어와 차이점을 찾으라면 중괄호와 같은 블락이 없고 마지막에 사용되는 ; 등의 기호가 없습니다. 그 대신에 텍스트 들여쓰기로 코드의 위치를 확인하는 점이 파이썬과 다른 언어의 차이점입니다.그럼 위 함수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함수이름을 지정하여 선언하였고 함수 내부에 사용할 값으로 소괄호 ()안에 인자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