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의 box-shadow 스타일 속성을 사용하여 그림자 효과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또 아래, 위, 좌, 우 한 방향으로만 그림자 효과를 적용하는 방법도 함께 알아봅니다.# CSS 그림자 효과를 한 방향으로 만들기그림자 효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세 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나 ] transparency 효과를 주기 위해서 png 파일을 적용하기[ 둘 ] filter 스타일 속성의 drop-shadow 값을 적용하기[ 셋 ] css의 box-shadow를 사용하기여기서 오늘 알아볼 내용은 바로 box-shadow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왜 box-shadow를 사용할까이런 질문을 던질 수 있겠죠... 그 이유를 찾아보자면 filter의 경우 브라우저 호환성 부분에서 box-shad
Last Modified : 2020-12-16 15:27:08CSS를 사용하여 텍스트에 특별한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무지개 효과를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어떻게 하면 무지개 효과를 만들 수 있을까요?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 CSS 텍스트 무지개 효과 구현하기텍스트를 강조하는 방법으로 볼드 효과나 색 또는 그림자 효과를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제목 등에 좀 더 강조하려는 목적으로 또 다른 효과를 원하는 경우 무지개 효과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텍스트에 css를 사용하여 무지개 효과를 적용하는 방법입니다.먼저 이를 구현하기 위해 아래의 css 프로퍼티를 사용해야 합니다.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navy, purple);//
Last Modified : 2019-08-02 20:19:12react 앱의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useEffect()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함수형 컴포넌트 useEffect hook리액트 컴포넌트 타입 중 함수형 컴포넌트는 클래스 컴포넌트와 달리 componentDidMount 등의 라이프사이클 함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 다양한 useState, useEffect와 같이 다양한 이벤트 훅이 존재하는데 이 중 componentDidMount, componentDidUpdate와 비슷하게 동작하는 useEffect 훅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useEffect 훅은 클래스 컴퍼넌트의 생명주기 함수인 componentDidMount, componentDidUpdate와 비슷하게 동작함"먼저 useEffect()의 간단한 사용 문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Last Modified : 2020-11-30 21:2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