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의 position 스타일 속성에서 fixed를 사용하면 부모 요소가 아닌 웹문서(Document)의 root 영역인 뷰포트를 기준으로 정렬이 가능하게 됩니다. 다만 예외적인 케이스가 있는데요 ~ 이 경우 어떻게 해결하면 될까요?! position: fixed; 예상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이 경우 발생하는 문제는 하나입니다. 문서 전체를 기준으로 고정된 영역에 해당 엘리먼트가 노출되어야 하는데 부모 기준으로 설정된 위치가 적용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fixed 값을 사용하였지만 원하는 결과대로 나타나지 않죠. 이런 경우 스크롤을 이동할 경우 고정되야 할 엘리먼트가...
css 스타일 속성 중 하나인 inset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inset은 무엇이고 언제 사용할 수 있는지 아래에서 알아보세요.#css 속성 inset은?inset은 태그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top, right, bottom, left의 축약 스타일 속성입니다. 즉 상하좌우를 각각의 css 속성으로 설정하지 않고 inset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사실 inset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top, right, bottom, left 등을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활용 팁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특정 엘리먼트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사용될 ...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화면(screen)으로부터 DOM 엘리먼트의 위치(position)를 알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DOM 엘리먼트의 위치 구하기이 번에 알아볼 방법은 현재 화면, 윈도우(window)룰 기준으로 특정 엘리먼트의 위치 값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아래 스크린샷 처럼 말이죠. 상단과 하단은 스크롤을 이동하여 화면에서 보이지 않는 영역입니다.스크린샷) 화면을 기준으로 부터의 거리 구하기즉 현재 브라우저 화면을 기준으로 위치 값을 가져옵니다. 만약 값을 구할 엘리먼트가 감춰져 안 보인다면? 이 경우 화면 밖에 위치하므로 당연히 마이너스...
CSS의 스타일 속성 position 값 중에는 sticky 값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sticky를 사용하면 항상 화면에 고정되어 보여줄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다른 요소들에 영향을 받는 fixed, relative 두 개의 효과를 모두 가질 수 있죠.이런 특징 때문에 별도의 콘텐츠 영역, 사이드바 영역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 때 만약 sticky 요소를 페이지 상단이 아닌 하단에 보이도록 하려면 어떻게 할까요?Sticky 요소를 하단에 보이게 하는 방법!! css position sticky를 하단에 고정하기, bottom일반적으로 상단 위치에 sticky를 많이 ...
css를 사용하여 엘리먼트 요소를 한 곳이 고정시키면서(fixed) 다른 요소와는 겹쳐지지 않는 방법(relative)을 알아봅니다.position 프로퍼티를 사용하면 엘리먼트 요소를 고정하거나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정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값 중에서 position 설정으로 sticky 값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아래와 같이 css에 설정합니다.position: stickysticky는 무엇이고 는 언제 왜 사용하는지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position sticky 알아보기이처럼 position값을 Sticky로 설정할 경우 relative처럼 동작하...
제이쿼리는 특정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를 구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메소드를 지원하는데 그 중에서도 아래 두 메소드를 사용하면 매우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선택요소).offset();$(선택요소).position();만약 test라는 클래스 명을 가진 요소가 있을 경우 그 요소의 상대적 위치를 구하기 위해 아래의 방법을 사용한다.$('.test').offset();// 문서로부터의 좌측과 상단으로부터의 거리를 출력$('.test').position();// 가장 첫 번째 부모요소로부터의 좌측과 상단으로부터의 거리를 출력...
세로 정렬을 하기 위한 방법들은 몇가지의 방법들이 있습니다. 가장 쉬운 방법중 하나가 table 태그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table을 사용하면 안에 있는 요소는 자동으로 세로정렬됩니다. 아니면 display의 속성을 table과 table-cell로 변경하는 방법 역시 유용합니다. 이 방법들은 아래 링크에 잘 소개되어 있으니 참고하세요.특정요소를 세로정렬하는 방법 바로가기 >그런데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세로정렬하게 될 요소가 position: absolute; 즉 절대값을 가지면 안됩니다... 하지만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하...
크로스 브라우징 작업을 하던중에 Firefox에서 background-position값 중 일부가 적용이 안되는 부분을 발견했습니다. Chrome(크롬)에서는 잘 되던 속성인데 말입니다... 알아보니 이 속성은 표준 CSS 속성이 아니더군요. 그래서 Opera와 Firefox에서는 바꾸어 사용해야합니다.* background 관련 파이어폭스 사용가능 속성1. background: .... ( O )2. background-position: .... ( O )3. background-position-x: .... ( X )4. background-position-y: ...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특정 엘리먼트의 위치를 알려고합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jQuery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요소의 절대좌표와 상대좌표를 구하거나 이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럼 아래에서 그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선 요소들의 위치 값들이 언제... 왜 필요할까요?# 절대좌표, 상대좌표(절대위치 및 상대위치) 필요한 경우는?모바일 및 태블릿 사용환경을 고려한 반응형 웹사이트 구현할 경우 브라우저의 크기에 따라 레이아웃이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콘테츠의 크기가 변경하거나 위치가 바뀔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position 속성이 absolute인 경우 정렬을 맞추는 방법입니다. 해당 요소의 position이 absolute일때 정렬하는 방법은 relative와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absolute일 경우의 특징을 고려해서 레이아웃을 설정해야 하는데요...1. position 속성이 absolute?; absolute 속성이 되는 경우 주변의 다른 레이어 객체들과 상관하지 않은채 정렬이 가능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position이 relative인 경우는 다른 요소들을 고려해 정렬을 맞추어야 합니다. 앞 또는 뒤에 위치한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