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리눅스 환경에 구동중인 프로세서(process), 서비스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각 프로세서의 ip주소와 포트, PID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netstat를 사용하는 방법netstat은 현재 구동중인 모든 프로세스,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netstat이를 사용하면 현재 서비스가 가능한 프로토콜 및 ip, 포트(port), PID 등의 정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함께 사용하는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n // 주소, 포트를 숫자로 변경하여 출력함l // Listening 중인 소켓만 출력p // pid/program 이름을 출력함a // 모든 소켓을 출력함t // tcpu // udpx // unixc // 계속해서 네트워크 상태 출력하기위 옵션 중 가장 많이 사
Last Modified : 2020-08-24 09:12:13angularjs 내장 서비스 알아보기$anchorScroll해당 앵커 위치로 이동시킴$animatetransition 애니메이션 기능을 구현$complie$controller
Last Modified : 2017-08-11 01:42:16AngularJS에서 Service와 Factory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언제 어떻게 사용할까요?
Last Modified : 2017-08-11 01:43:08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란 무엇인가?
Last Modified : 2017-06-01 15:43:01리눅스에서 새로운 service를 추가하여 웹서버의 앱을 구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아래 코드는 uwsgi를 사용하여 python 앱을 서버에 구동하는 코드인데요 ~ 이와 같이 새로운 서비스(Service)를 사용하는 경우 설정하는 방법과 주의할 몇 가지를 알아봅니다.! 새로운 service 등록과 설정방법먼저 코드를 살펴보도록 하죠. /etc/systemd/system/myapp.service 파일입니다.@ myapp.service[Unit]Description=uWSGI instance to serve my appAfter=network.target[Service]User=rootGroup=www-dataEnvironment="PATH=/home/myapp"WorkingDirectory=/home/m
Last Modified : 2020-11-24 21:1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