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작성하는 경우 텍스트의 일부가 영역을 넘어가게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줄바꿈, 랩핑(wrapping)이 필요합니다. 이와 관련된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며 css에도 랩핑과 관련된 다양한 속성이 존재합니다. 아래는 이와 관련된 속성을 알아보고 예제를 통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알아둘 점시작에 앞서 우리는 줄바꿈에 쓰이는 세 가지 속성을 가장 많이 볼 수 있습니다.word-wrapword-breakoverflow-wrap여기서 가장 많이 쓰이던 줄바꿈, 랩핑 속성이 예전에는 단연 word-wrap이었다면 이제는 word-break가 사용됩니다. 그 이유는...word-wrap의 경우 CSS version 1이지만 최근의 브라우저는 CSS3인 word-break를 사용해도 대부분 완벽히 호환되기 때문입니
Last Modified : 2020-12-29 19:04:44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개발자 도구를 사용해 직접 소스를 변경, 추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브라우저에서 직접 수정하고 추가하는 방법이 가능?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 크롬의 Workspace 설정으로 가능합니다. 그럼 개발자 도구를 사용하여 브라우저에서 직접 수정하고 저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봅니다.# 개발자 도구로 크롬에서 바로 수정, 저장하기크롬에서 개발자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습니다. 특히 웹소스의 잦은 확인이 필요한 경우... 예를들면 화면 인터페이스, UI작업 등의 웹퍼블리싱에 더 많이 사용되겠죠. 또 자바스크립트의 디버깅을 목적으로도 많이 쓰입니다. 이때 확인과 동시에 브라우저에서 직접 수정하고 저장할 수 있다면 더욱 편리하겠죠. 크롬의 개발자 도구는 Workspace
Last Modified : 2020-04-18 14:56:23파일을 다운로드 받았을때 확장자가 실행파일인 com, exe, dmg 등이 아니라 아래처럼 iso로 끝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흔히들 이미지 파일이라고 하죠. 혹시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파일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가상 드라이브 프로그램 설치 후 실행하기iso 파일은 CD등 미디어 장치의 데이터를 iso 확장자인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경우에 생성됩니다. 그래서 이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이미지 파일 로더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1. 데몬툴즈(Demon Tools) 가상드라이브2. CD Space 가상 드라이브위의 프로그램을 설치 후에 해당 파일을 선택하면 실행 가능한 형태로 로딩됩니다. 만약 위의 파일을 설치하는 방법이 아닌 방법을 원하신다면 아래의 방법도 가능합니다.!
Last Modified : 2020-11-06 08:18:42열심히 글을 써내려가다가 실수로 페이지를 이동하는 경우가 없으신가요? 예를들어 뒤로가기 버튼이 마우스에 있는 경우도 있죠~ 이 경우 자신도 모르게 뒤로 이동해 열심히 작성한 내용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물론 자동 저장 기능이 없다면 말이죠~자동 저장가능은 분명 효과적이고 우수한 안정장치입니다. 하지만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고 쿠키를 허용하거나 저장 공간에 제약이 있을 수 있죠. 서버에 저장한다고해도 트레픽이 높은 경우 불필요한 자원낭비이므로 이 방법을 고집하는 건 비효율적이죠~그럼 뒤로이동을 금지하는 방법을 구현해 실제 콘텐츠 작성시 발생가능한 위험 요소로 부터 좀 더 자유로워지면 좋겠죠? 그럼 어떻게 이 기능을 적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백스페이스에 이벤트를 사용하여 예방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key
Last Modified : 2017-04-03 14:49:22aws에서 서버를 설정한 뒤 보유한 도메인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aws에서 도메인을 연결하려면 아래의 과정을 수행합니다.Elastic ip 설정생성된 인스턴스 public ip를 호스팅 가능하게 설정도메인의 네임스페이스에 호스팅 네임스페이스 설정설정된 도메인으로 이동# Elastic ip 설정엘라스틱 ip는 유동ip에서 고정ip로 바뀌게됩니다. 즉 고정된 ip를 계속해서 사용가능하므로 반드시 도메인 연결을 위해 설정해야만 합니다.위 방법을 통해 특정 도메인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됩니다. 참고로 모든 과정을 수행하여도 바로 웹사이트의 네인스페이스가 바뀌는 것은 아니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된 정보가 반영되므로 조금 기다릴 필요가 있다는 전 참고하세요.
Last Modified : 2017-08-05 17:10:40lodash를 사용하여 문자열의 공백을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인 trim()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lodash trim() 메소드는?trim()은 문자열에 적용하는 메소드입니다. 일반적으로 trim() 함수의 경우 매우 자주 사용되죠. trim()을 사용하면 문자열에서 처음과 마지막에 사용된 공백을 제거해주게 됩니다. 예를들어 ' abc '는 'abc'로 변환하게 되죠.lodash trim()의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_.trim(string, char)여기서 trim()은 두 가지 인자를 전달 받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입력받을 값이고 두 번째는 적용할 공백이나 문자열을 의미합니다.// string : 변환, 변경할 문자열// char(Option) : 변환, 변경시 기준이
Last Modified : 2021-01-14 15:5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