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중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에서 가능한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웹사이트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반드시 서버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사용 목적에 따라 클라이언트 저장소 역시 좋은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저장소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쿠기 저장소를 떠올리겠지만 html5에는 좀 더 효과적인 클라이언트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데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면 다음과 같죠.! localStorage, sessionStorage API 알아보기html5에서는 좀 더 쉽고 간단한 저장소 제공을 위해 새로운 localStorage와 sessionStorage API를 제공합니다. 둘 다 저장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저장소로서의 기능은 대부
Last Modified : 2019-08-06 00:05:00로컬 저장소를 웹에서 사용할 경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쿠기 그리고 로컬스토리지입니다. 이때 쿠키(Cookie)와 로컬스토리지(Local Storage)은 둘 다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엇이 옮다고 하기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각각의 쓰임새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둘의 목적과 장단점, 그리고 명확한 차이를 알고 있어야 할 것 입니다. 아래는 이 둘을 사용할때 각각의 장점과 단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okie vs LocalStorage우선 쿠키는 서버측과 클라이언트측 양쪽에서 쿠키 데이터를 사용하는 api가 존재합니다. 이와 달리 localStorage는 로컬 환경에서만 컨트롤되죠. 이런 이유로 저장된 쿠키 데이터의 쓰임이 양쪽
Last Modified : 2019-08-12 22:18:31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Architecture) 단계에서 많이 고려되는 Redis 데이터저장소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봅니다. Redis는 무엇이고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는지 그리고 설치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Redis란 무엇인가, Redis의 이해Redis는 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입니다. Redis는 In-Memory 방식으로 메모리를 사용하여 CRUD를 수행, 데이터를 저장하는 Data Storage입니다. NoSQL 방식의 데이터베이스로 Redis는 다른 데이터저장소에 사용되는 하드디스크(HDD), SSD 방식이 아닌 메모리를 사용하므로 성능 및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메모리는 용량에 따른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텍스트
Last Modified : 2020-08-09 12:23:20지난번 이야기가 어디까지였더라... 아마 플로피디스켓(Floppy disk)가 마지막이었던 것 같다. 어쨌든 그때는 저장공간의 한계때문에 제약사항이 너무나 많던 시기였다. 지금처럼 네트워크가 잘되있다면 이런 문제가 크지 않았겠지만 네트워크의 모습도 지금과는 너무 다르던 시기였다... 이런 부족한 공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뭔가 특단의 대책이 필요해 보였다. 단순히 디스켓의 용량 늘리기로는 한계가 있었으므로 디스켓이 아닌 다른 물리적 뭔가가 나오길 기대하고 기대했다.아마 압축 프로그램이 넓리 사용된 시기도 이쯤이었다. 플로피디스켓에 하나의 프로그램을 다 담을 수 없었기 때문에 분할 압축은 필수적이었다. 분할 압축은 가지고 있는 디스켓 타입에 따라 1.2메가 또는 1.44 메가로 여러장 나누어 담는데 매우 편
Last Modified : 2016-05-16 13:10:37리눅스의 저장장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df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리눅스 df 명령어 알아보기df는 disk filesystem의 줄임발로 디스크 파일 시스템에 대하여 정보를 알려줍니다. 특히 사용 중인 공간과 남은 공간을 확인할 때 매우 용이합니다. 아래는 사용 간으한 옵션 정보입니다.h // 읽기 쉬운 단위로 변경하여 출력함m // 메가 바이트(M byte) 단위로 보기k // 킬로 바이트(K byte) 단위로 보기T // 파일 시스템의 타입 확인하기아래는 df -h 명령어를 사용한 경우의 출력 결과입니다.df -h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rootfs 953G 146G 808G 16% /C:
Last Modified : 2020-12-08 13:43:18아마존 웹서비스 AWS를 처음 사용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 아래는 AWS를 처음 만들고 실행하는 분들을 위해 만들었습니다.먼저 AWS를 생각하신다면 좀 더 효과적인 웹호스팅의 필요를 느끼신 분들이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저 역시 국내 대부분의 웹호스팅을 거쳐 해외 호스팅을 사용하다가 뭔가 더 필요한 부분들을 채울 수 있을꺼란 기대감으로 AWS를 시작하였습니다. 대부분의 대형 웹서비스에서 아마존 웹서비스인 AWS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왜 AWS인가?이유는 저에게만 해당할 수도 있습니다. 웹트래픽이 꾸준하거나 예측 가능하다면 유동적인(Elastic) 트래픽 과금 방식이 필요없을 수 있죠. 하지만 예측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존재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유입 증가입니다. 이런 경우 평
Last Modified : 2018-07-10 11:19:44안드로이드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어떻게해야할까요? 핸드폰을 오래 사용하면 당연히 앱도 많아지고 다운로드 받거나 임시파일... 또는 사진 및 기타 미디어들도 많아져 공간이 부족하게됩니다. 이때 가장 간단하고 편리하게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입니다.위와 같이 우측 상단의 메뉴 클릭하기!# 기기여유공간확보 저장소 비우기아래와같이 수행하세요!설정으로 이동하기저장소를 클릭우측 상단 기기 여유 공간 확보를 클릭이 방법이 좋은 이유는 가장 불필요한 데이터를 먼저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가장 먼저 다운로드 되었거나 설치되었으나 장기간 미사용 앱 들을 우선적으로 삭제하여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합니다.
Last Modified : N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