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유닉스 환경에서 자주 사용되는 에디터 vi 또는 vim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먼저 vi, vim은 파일을 수정하는 에디터 기능을 제공합니다. vi와 vim의 차이점은 vi의 경우 초창기 개발 어플리케이션이고 vim은 vi improved로 개선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vi 그리고 vim의 차이점간단한 차이점 몇 가지를 알아보면...- 더 많은 언어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강조 기능- 네트워크를 사용한 에디팅 가능- 화면 분할이 가능- 압축파일에서도 파일 변경이 가능- 파일 비교하기 기능(vimdiff)- 플러그인 지원- vimscript 스크립팅 가능# Shell에서 vm 또는 vim을 사용한 문서 편집먼저 아래 커맨더로 파일을 수정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vm filenamevim filename@
Last Modified : 2018-11-20 08:09:05리눅스, 유닉스에 설치된 텍스트에디터 vim을 사용하여 파일을 서로 비교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어떻게하면 두 개의 파일을 서로 비교할 수 있을까요?# vim 파일 비교하기만약 파일 두 개를 비교하려면? 이때 vim을 사용해서도 파일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아래와 같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1. vimdiff 사용하는 방법vimdiff file1 file22. vim -d 옵션 사용하기vin의 d 옵션을 사용하면 두 개의 파일의 다른 부분을 찾을 수 있습니다.vim -d file1 file2! vim 에디터 정보 더 알아보기만약 vi 또는 vim 에디터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나 팁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vi vim 더보기는 아래 링크를 클릭 >https://webisfree
Last Modified : 2018-07-12 08:46:29리눅스에서 사용되는 tail 명령어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 리눅스 파일 내용 출력하기, tailtail은 파일의 내용을 출력해주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텍스트 내용을 보거나 수정할 때 cat, vi, vim 등을 사용하죠. 이 중에서도 tail은 특히 로그 등을 확인할 때 더 자주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파일의 내용을 앞에서 부터 반환, 출력하지 않고 뒤에서 부터 출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tail간단하게 예를들어 서버의 로그가 기록된 sysinfo라는 로그 파일이 있는 경우에 새로운 로그가 기록될 때 파일 내용의 뒷 부분 부터 추가됩니다. 이런 이유로 가장 최근의 로그를 확인하려면 뒤에 기록된 내용을 봐야하죠. 바로 이 경우 tail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tail 명령어 사
Last Modified : 2021-05-12 11:47:43웹스톰(Webstorm)을 처음 설치시 설정 가능한 옵션으로 vim 모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Vim mode인 경우 이를 설정 해제하려면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웹스톰 vim 모드 해제하기앞서 말한 것 처럼 처음 설치시 vim모드를 설정하면 추가로 IdeaVim 플러그인이 설치되고 사용하게 됩니다. 리눅스 환경처럼 Vim이 기본값으로 설정되면 수정이나 검색 등을 방법이 다르죠.그럼 vim 모드를 헤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순서에 따릅니다.1. 설정 모드로 진입할 것; Ctrl + Alt + S 키를 눌러 설정모드로 진입합니다.2. 플러그인 설정 화면으로 갈 것; 설정된 Vim Plugin을 찾아 체크박스의 상태를 off로 변경합니다.스크린샷) Plugins의 IdeaVim 체크박스를
Last Modified : 2020-07-07 23:1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