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5월 윈도우즈 2004 업데이트를 통해서 WSL 2를 사용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WSL 2 파일 경로 접근하는 방법만약 WSL 2 폴더에 접근해 이동하거나 파일 복사 등을 하려면 어떻게 할까요? 더 간단한 방법으로 가능합니다.아래 명령어를 파일탐색기에 입력합니다.\\WSL$입력하면 WSL 2의 경로가 네트워크로 나타납니다. 즉 두 개의 머신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보이게되죠.이제 이 곳에 파일을 복사하거나, 이동하는 등의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Last Modified : 2020-06-19 13:49:24윈도우 하위 리눅스인 WSL2를 사용하면 리눅스 기반의 로컬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데 매우 편리한 것 같습니다. 서버 환경이 리눅스라면 윈도우에서도 동일한 환경 구축이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이죠.그런데 WSL2를 사용하면서 내 로컬 개발 서버를 외부에 공유하려고 할 때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외부에서 ip를 통한 접속이 안되는 문제였죠. 아래는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의 과정입니다.# wsl2 외부 remote ip로 접속 허용하기처음에는 당연히 윈도우의 방화벽 설정만으로 접속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방화벽에서 해당 포트를 허용하고 접속하면 될 것 같았지만 동작하지 않더군요... 혹시 다른 문제인가 싶어서 IIS(윈도우 웹서버)를 사용하여 윈도우 서버를 구축하고 해보니 잘되는 것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즉
Last Modified : 2022-01-11 20:48:34윈도우 하위 리눅스 wsl을 wsl2로 업데이트 한 이 후 문제점 및 장점 등에 대하여 적어보았습니다.# 윈도우 10 하위 리눅스 2 업데이트윈도우 10의 2004 업데이트 이 후 가능한 윈도우 하위 리눅스를 새로운 버전인 wsl 2로 업데이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참고로 현재 두 대의 장비가 있지만 아직 하나의 pc는 업데이트는 진행되지 않습니다. 장치에 따라 업데이트가 가능한 경우가 있고 업데이트가 아직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노트북의 경우가 두드러집니다. 상황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후 가능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wsl 2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가장 큰 이유는 호환성이 높은 리눅스 환경의 구축입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Mac을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로 로컬 개발 환경에서
Last Modified : 2020-09-18 08:58:59윈도우 하위 리눅스(wsl) 환경에서 hosts 파일을 변경하여 로컬 서버를 동작 시키려고 합니다. 이 경우 windows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는 잘 동작하지만 wsl을 사용하는 경우 hosts에 설정한 것과 달리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왜 안되는지 그 원인과 해결방법을 알아봅니다.! wsl에서 hosts 문제 원인과 방법은?먼저 원인은 윈도우 환경에서 설정된 hosts 설정이 wsl 환경에서는 동일하게 동작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wsl에서는 윈도우의 hosts 파일이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wsl 사용 목적의 hosts 설정이 별도로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해결 방법은?다행인 점은 윈도우에 설정된 hosts 문법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 기존 설정된 hosts 파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
Last Modified : 2021-06-29 06:4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