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윈도우 하위 리눅스인 WSL 2에서 로컬 앱의 포트를 80으로 설정하려고 했더니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확인해보니 WSL은 기본적으로 1000 포트 보다 낮은 포트의 사용이 기본적으로 막혀있습니다. 아무래도 보안상의 이유가 클 것 같습니다. 역시 포트 사용은 주의할 필요가 있겠습니다.아래는 wsl에서 1000 이 하의 포트를 허용하기 위한 방법을 간략히 알아봅니다.# wsl에서 포트 번호 1000 이 하를 사용하는 방법방법은 wsl에 설정된 기본 허용 포트의 설정하는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수행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etc/sysctl.conf 파일을 찾아...
윈도우 하위 리눅스(WSL or WSL 2)의 재시작, 리부트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간략하게 방법만 알아보려고 합니다. 가장 쉽고 빠른 재시작 방법은 무엇일까요?# WSL 재시작 하기, Reboot몇 가지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이 중에서도 쉽고 빠른 방법을 알아봅니다.@ 윈도우즈 서비스 화면에서 재시작하기쉽고 빠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아래와 같이 수행합니다.Win + r 키 누르기입력창에 services.msc를 입력 후 엔터화면의 서비스 목록에서 LxssManager를 찾기마우스 우클릭 후 다시 시작(E)을 선택하기이제 wsl이 재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
윈도우즈 WSL 2를 사용하면서 도커 데스크탑(Docker desktop)을 사용해 로컬 개발 환경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큰 문제가 발생습니다... 도커 사용 이 후부터 컴퓨터가 너무 심하게 느려졌기 때문이죠... 중간 중간 멈추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Docker Desktop 설치 이 후부터 발생했기 때문에 분명 도커 설정쪽을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가장 먼저 Docker Desckop의 환경설정에서 메모리 설정을 확인해봤습니다. 그런데 WSL 2(윈도우 하위 리눅스)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설정을 도커 데스크탑 앱이 아닌 .wslconfig ...
윈도우10에서 wsl 또는 wsl2의 리눅스를 설치하여 사용할 때 만약 apt update가 정상 동작하지 않고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해결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참고 ] 우선 증상, 원인, 해결 방법으로 나누었고 동일한 이슈라고 판단된다고 아래의 방법을 참고하셔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apt-get update 에러 원인윈도우10에서 리눅스(ubunut)를 설치 후 현재까지 큰 이슈없이 잘 사용해오다가 최근 apt-get update를 실행할 경우 네트워크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문제로 생각되는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네트워크 에러라고 판단한 이...
윈도우 하위 리눅스인 WSL2를 사용하면 리눅스 기반의 로컬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데 매우 편리한 것 같습니다. 서버 환경이 리눅스라면 윈도우에서도 동일한 환경 구축이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이죠.그런데 WSL2를 사용하면서 내 로컬 개발 서버를 외부에 공유하려고 할 때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외부에서 ip를 통한 접속이 안되는 문제였죠. 아래는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의 과정입니다.# wsl2 외부 remote ip로 접속 허용하기처음에는 당연히 윈도우의 방화벽 설정만으로 접속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방화벽에서 해당 포트를 허용하고 접속하면 될 것 같았지만 동작...
윈도우 하위 리눅스(wsl) 환경에서 hosts 파일을 변경하여 로컬 서버를 동작 시키려고 합니다. 이 경우 windows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는 잘 동작하지만 wsl을 사용하는 경우 hosts에 설정한 것과 달리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왜 안되는지 그 원인과 해결방법을 알아봅니다.! wsl에서 hosts 문제 원인과 방법은?먼저 원인은 윈도우 환경에서 설정된 hosts 설정이 wsl 환경에서는 동일하게 동작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wsl에서는 윈도우의 hosts 파일이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wsl 사용 목적의 hosts 설정이 별도로 필요합니다.@ 그렇다...
윈도우 하위 리눅스 wsl을 wsl2로 업데이트 한 이 후 문제점 및 장점 등에 대하여 적어보았습니다.# 윈도우 10 하위 리눅스 2 업데이트윈도우 10의 2004 업데이트 이 후 가능한 윈도우 하위 리눅스를 새로운 버전인 wsl 2로 업데이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참고로 현재 두 대의 장비가 있지만 아직 하나의 pc는 업데이트는 진행되지 않습니다. 장치에 따라 업데이트가 가능한 경우가 있고 업데이트가 아직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노트북의 경우가 두드러집니다. 상황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후 가능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wsl 2를 사용해...
2020년 5월 윈도우즈 2004 업데이트를 통해서 WSL 2를 사용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WSL 2 파일 경로 접근하는 방법만약 WSL 2 폴더에 접근해 이동하거나 파일 복사 등을 하려면 어떻게 할까요? 더 간단한 방법으로 가능합니다.아래 명령어를 파일탐색기에 입력합니다.\\WSL$입력하면 WSL 2의 경로가 네트워크로 나타납니다. 즉 두 개의 머신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보이게되죠.이제 이 곳에 파일을 복사하거나, 이동하는 등의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