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sitemap)은 웹사이트를 만들어보셨다면 한번쯤 들어보셨을거라 생각됩니다. 웹페이지로 사이트 전체의 링크를 가지고 있는 페이지를 사이트맵이라고도 하죠. 하지만 여기서 얘기하는 사이트맵은 xml타입의 문서로 웹사이트의 접근 가능한 모든 url을 명시한 sitemap.xml을 의미합니다.사이트맵을 만드는 가장 큰 이유는 rss처럼 웹사이트의 페이지 정보를 다른 곳으로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검색엔진에 제출해 웹사이트 검색이 잘 될 수 있도록 제공하기도하죠.모든 문서 양식이 따라야할 지침, 규정이 있듯이 이 문서 역시 미리 약속된 규약에 따라 알맞게 생성되어야 합니다.사실 사이트맵 제작하는 것이 엔지니어가 아니라면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웹사이트 주소 입력만으로도 자동으로 xml 타입의 사이트
Last Modified : 2016-05-03 01:33:01# code 태그란? 사용 예제; code 태그는 html에서 컴퓨터에 사용되는 코드의 조각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변수 및 속성, XML 이름, 파일 이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아래처럼 코드를 모니터에 출력하는 경우 code태그를 사용합니다.<html><body> <span>지역 변수의 선언 ... <code>var test = 'Keep going'</code></span> // 변수를 선언하는 경우 <span>아래의 이미지가 사용됩니다... <code>'test.jpg'</code></span> // 이미지 이름을 나타내는 경우</body></html># code 태그의 특징; 기본 폰트로 font-family 속성이 monospace로 지정됩니다. 또한 코드 태그는 di
Last Modified : 2017-10-29 13:20:29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비동기 방식(ajax)으로 처리하는 웹사이트가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역시 비동기식 방식(asynchronous way)이 가진 많은 장점 때문인데요...아래는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비동기 방식의 네트워크(ajax)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고자합니다. 그럼 우선적으로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차이점 및 특징은 무엇이 있을까요?!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차이동기식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통신하여 프로세스를 수행 및 종료까지 같이함을 의미합니다. 만약 서버에서 호출된 결과까지의 시간이 지연이 생길 경우 웹에서는 아무런 작동 없이 기다려야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 불러오기 위해서는 페이지를 리로드 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비동기 방식은 이와 상관없
Last Modified : 2019-10-21 14:07:33Python에서 검색엔진최적화의 가장 중요한 하나로 sitemap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검색엔진의 크롤링이 sitemap을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아래는 Python 앱을 사용하는 경우 jinja2를 사용한 템플릿의 sitemap.xml 페이지를 만들어보려고합니다. 아래에서는 Python 프레임워크 중 하나인 Flask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럼 어떻게 만들고 동작하는지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봅니다.# Python sitemap.xml 만들기앱을 만들기 이 전에 아래와 같은 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Python flask앱에 sitemap.xml 페이지 만들기- sitemap.xml 내부에 jinja2를 사용하여 동적으로 코드 생성하기그럼 flask 앱을 먼저 만들어 봅니다.! Python flas
Last Modified : 2020-11-08 12:2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