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lodash의 get() 메소드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봅니다.# Lodash get() 메소드get()은 객체에 사용하는 메소드로 객체가 가진 프로퍼티의 값을 구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프로퍼티의 값을 get()을 사용하지 않아도 얻을 수 있지만 get()을 사용하면 더 쉽고 편하게 얻을 수 있는데 특히 내부의 깊은 뎁스 구조를 가진 경우의 값을 얻을 때 매우 유용합니다. 먼저 간단한 문법입니다._.lodash(대상 객체, 찾을 경로, 기본값)각각 다음을 위해 사용됩니다.대상 객체 : 타겟이 되는 객체찾을 경로 <Array | String...
자바스크립트 표준이 되는 ECMAScript 중 ES 2020에 소개된 Optional chaining(선택적 체이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ES 2020, optional chaining 옵셔널 체이닝ES 6 이 후 추가된 여러 기능들 중에서 Optional chaining은 매우 유용하고 선호도가 높은 기능 중 하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만큼 많이 쓰이고 있는 Optional chaining은 사전적 의미처럼 객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체이닝을 수행하는 연산자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객체가 가진 프로퍼티의 존재 여부에 따라 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