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배열, 여러개의 배열값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하나로 합치거나 병합하기 위해서 concat()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다수의 배열을 하나의 값으로 병합합니다. 다시말해 배열값이 여러개인 경우 이를 하나로 합칠 수 있게됩니다. 아래는 간단한 사용방법입니다.기존 배열명.concat(병합할 배열명) 배열값을 병합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서 그럼 아래의 예제소스를 확인해 주세요. 아래는 여러개의 배열을 하나로 합치는 예제입니다.# 배열 합치기 예제보기, concat()그럼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을 합치는 concat() 함수의 예제입니다. 아래 소스 코드를 봐주세요.test1 = new Array('1', '2');test2 = new Array('3', '4')
Last Modified : 2019-11-06 10:37:55try catch 구문은 오류를 발견하고 핸들링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이 안에 사용된 함수는 이미 개발자에 의해서 수정이 되었다고 보고 자체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여도 무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만 사용되죠. 그렇다면 언제 try catch 구문을 사용할까요?# try catch 구문은 언제 필요한가아래의 경우에 try catch 구문을 사용합니다.써드파티 모듈 등 자체 개발한 앱이 아닌 경우 에러를 회피하기 위함빠르게 발생한 에러 위치를 제공하기 위함좀 더 자세한 에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완성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에러를 출력하지 않기 위함이 외에도 많으나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그럼 아래는 간단한 사용방법입니다.# try catch 구문 예제보기기본적으로 아래와
Last Modified : 2017-04-26 11:21:08필요에 의해서 인증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웹사이트의 경우 역시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해서 SSL 등의 인증서를 설치할 필요가 있죠. 이때 인증서 파일은 cer 또는 crt의 확장자를 가지게 됩니다. 그런데 인증서의 확장자 cer 그리고 crt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왜 다를까요?우선 둘 다 SSL에서 사용하는 인증서 포맷으로 cer, crt 둘 다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서버 환경에서 요구하는 확장자가 다르므로 변환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즉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cer, crt 인증서 변환하는 방법앞 에 언급한 것처럼 둘 다 사용 가능하나 서버 환경에 따라 변환이 필요하며 서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만약 crt 파일의 인증서를 cer 인
Last Modified : 2019-08-07 20:39:16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쿼리문을 사용해 불러오려고 한다. 그런데 우리가 불러오고 싶은 값이 오직 숫자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를 불러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그 방법에 대하여 알아볼까한다.참 어려운 부분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의 SQL 쿼리가 존재한다. 본인은 PHP 언어에서 MySQL을 사용했으며 다양한 검색결과를 사용해 테스트해보았으나 상당수가 적용되지 않음을 확인했다. 아무래도 서버언어 및 SQL 언어에 따라 차이가 있음에도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아닌 글들이 산재되어 있기 때문인 것같다... 어찌되었건 아래의 문법은 PHP의 MySQL에서 정상적으로 동작됨을 확인하였음으로 잘 구동될 것이다.우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CONCAT() 함수를 이용할이다. 이 함수가 하는 것은...
Last Modified : 2016-06-11 13:38:40react native에서 부모 컴포넌트의 값인 변수, 함수 또는 state를 자식 컴포넌트가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react native 부모의 값 자식 컴포넌트 사용먼저 부모가 가진 값을 자식 컴포넌트가 사용하는 방법으로 props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rops를 사용하여 변수나 함수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app.jsimport Test from './test.js'export default Main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 <View> <Test sitename="'Webisfree'"></Test> </View> ) }}Main 컴포넌트는 부모
Last Modified : 2018-08-21 20:15:38리눅스에서 사용되는 tail 명령어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 리눅스 파일 내용 출력하기, tailtail은 파일의 내용을 출력해주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텍스트 내용을 보거나 수정할 때 cat, vi, vim 등을 사용하죠. 이 중에서도 tail은 특히 로그 등을 확인할 때 더 자주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파일의 내용을 앞에서 부터 반환, 출력하지 않고 뒤에서 부터 출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tail간단하게 예를들어 서버의 로그가 기록된 sysinfo라는 로그 파일이 있는 경우에 새로운 로그가 기록될 때 파일 내용의 뒷 부분 부터 추가됩니다. 이런 이유로 가장 최근의 로그를 확인하려면 뒤에 기록된 내용을 봐야하죠. 바로 이 경우 tail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tail 명령어 사
Last Modified : 2021-05-12 11:47:43윈도우즈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화면에서 바꾸고 싶을때 어떻게 할까요?요즘처럼 멀티테스킹이 많은 경우 모니터의 어디에 어플리케이션 창을 위치 시킬 것인가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일일히 창을 이동하고 사이즈를 바꿀 수 있겠지만 더 간단한 방법이 있다면 좋겠죠?윈도우즈(Windows)에서 단축키를 사용하면 클릭 몇 번만에 원하는 위치로 이동 및 사이즈를 화면에 맞출 수 있습니다. 간단한 단축키지만 매우 좋죠!# 어플리케이션 원하는 화면위치에 이동하기이때 사용하는 단축키는 바로 Windows 키와 화살표, 방향키입니다. 이 두 키를 조합하여 원하는 위치로 움직이거나 전체화면 또는 숨기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럼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세요.기본 조작방법 - Windows + arrow keys더 많은 방
Last Modified : 2019-08-08 11:07:21API를 사용한 웹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경우 다양한 메소드에 대하여 정확한 테스트를 수행해야합니다. 여기서 쉽고 간단하게 API 테스트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및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아래는 API 테스트에 사용하면 좋은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상태 확인이나 GET 메소드 등의 간단한 API는 개발자 도구의 Network 탭만으로도 많은 것이 가능합니다. 가장 빠르고 확인할 수 있어 별도 어플리케이션을 띄우더라도 항상 같이 확인하는 것는 방법이죠. F12단축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POSTMAN 포스트맨크롬 익스텐션을 사용하는 방법 중 POSTMAN이 있습니다. 필요한 기능을 충실하게 가지고 있으면서 가벼운 편에 속합니다. 또한 브라우저 개인적으로 사용하기
Last Modified : 2017-05-16 08:21:07